한국외대 정보기록학과 온라인 스터디 <15분 스피치> 안내 드립니다.
3~4월 두 달 동안 <1203 아카이브>의 실무진들이 아카이브를 만들어가는 과정과 그에 기반한 활동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.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.
•
테마: 12.03 계엄사태와 민주주의 위기 수호와 성숙을 위한 아카이브
•
시간: 3월~4월 금요일 오후 9시 30분
•
장소: 'zoom' 화상회의
•
문의: 민현창 minhc0323@hufs.ac.kr
•
주제 및 발표
일정 | 주제 | 발표 |
3월 7일 | 1203 아카이브 총론: 우리는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| 박태선(국회의장실 기록비서관) |
3월 14일 | 집회 및 시민기록: 광장으로 나간 아키비스트 | 민현창 (정보·기록학과 석사수료) |
3월 21일 | 국회기록: 비상계엄 사건 기록화를 위한 가설(들)과 방법론 | 이재윤(정보·기록학과 석사) |
3월 28일 | 정당기록: 위기 속 정치 활동과 정당 반응의 모습 | 이경현(정보·기록학과 석사과정) |
4월 4일 | 시사유튜브: 흑백논리의 공론장 | 이권빈(정보·기록학과 석사과정) |
4월 11일 | 담론기록: ‘말’ 기록을 남기기 위한 실험 | 이도순(정보·기록학과 박사과정) |
4월 18일 | 아카이빙 협업툴로서의 노션(Notion) | 오가음(정보·기록학과 석사과정) |
4월 25일 | 1203 비상계엄 아카이브의 확장과 네트워킹 | 최효진(한국외대 정보·기록학연구소 책임연구원 |
•
•
스피치 계획은 변경될 수 있으니 매주 안내드리는 바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